728x90
반응형

-주식시장

현재 뉴욕 금융시장은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좌우하는 만큼 변수가 될 수 있는 지표는 경계감을 갖고 주시하는 분위기

투자자들은 12월 CPI를 앞두고 관망세

이코노미스트들은 CPI가 전년 대비 3.2% 올라 전달의 3.1%보다 상승했을 것으로 예상. 다만 근원 CPI는 전년 대비 3.8% 상승해 전달의 4.0%에서 둔화할 것으로 예상

 

앞서 90%를 넘어섰던 기준금리 인하 확률은 어느새 60%대 중반까지 내려왔다. 소비자 물가가 둔화하더라도 연준이 기준금리를 내리는 것은 또 다른 문제라는 게 인식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하지 않을 경우 연준의 3월 금리 인하 기대는 축소되고 연준의 관망세는 길어질 가능성

 

마이클 바 연준 부의장, 지난해 3월 실리콘밸리 은행(SVB)의 파산 이후 은행들의 도산을 막기 위해 한시적으로 도입한 긴급 대출 프로그램 '은행기간대출프로그램(BTFP)'이 1년 시한이 끝나는 3월에 연장 없이 종료될 것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미국 폭스비즈니스에 출연해 미국 경제가 골디락스를 보일 것이라는 시나리오에 회의적. 그는 "아직 연착륙이 안 될 수 있다고 본다"며 "가벼운 경기 침체일 수도, 심한 경기 침체일 수도 있다"

 

세계은행이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성장률은 2.4%에 그쳐 작년의 2.6%에서 둔화할 것으로 예상

 

아시아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실적 부진 소식에 반도체 관련주들이 대체로 약세를 보였으나, 대형 기술주들이 연초 낙폭 과대에 따른 반발 매수로 오름세를 보이면서 지수는 혼조세로 마감

 

 

다우: 전장보다 157.85포인트(0.42%) 하락한 37,525.16

S&P: 장보다 7.04포인트(0.15%) 떨어진 4,756.50

나스닥: 전장보다 13.94포인트(0.09%) 오른 14,857.71

 

 

 

-채권시장

연준 당국자들의 경계성 발언은 국채금리의 하방을 받치는 요소

 

매파로 분류되는 미셸 보먼 연준 이사는 전날 추가 기준금리 인상 없이 인플레이션이 계속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아직 그 시점에는 이르지 못했고 여전히 상당한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이 있다"

 

래피얼 보스틱 미국 애틀란타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도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둔화해 연준의 물가상승률 목표치 2%를 향해 가고 있지만 아직 승리를 선언하기에는 이르다고 다시 한번 강조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보다 0.92bp 오른 4.015%

2년물 금리는 같은 기간 2.49bp 상승한 4.375%

10년물과 2년물 격차는 전 거래일의 -34.4bp에서 -36.0bp로 확대

 

 

 

 

-외환시장

이번 주에 나올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반등할 것이라는 전망은 미 달러화를 지지

 

지난해 11월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는 전월보다 줄었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미국 무역수지 적자는 632억달러로, 전월대비 13억달러(2.0%) 감소

 

유로존의 지난해 11월 실업률이 6.4%로 직전월의 6.5%보다 낮아진 점은 눈길을 끌었다.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 위원인 프랑수아 빌레로이 드 갈라우 프랑스 중앙은행 총재가 "놀라운 일이 없다면, 2024년이 첫 금리 인하의 해가 될 것"이라고 말하면서 금리인하 기대는 유지

 

 

달러-엔 환율은 144.518엔으로, 전일 뉴욕장 마감가 144.155엔보다 0.363엔(0.25%) 상승

유로-달러 환율은 1.09279달러로, 전일 마감가 1.09547달러보다 0.00268달러(0.24%) 하락

달러 인덱스는 전장 102.255에서 0.28% 오른 102.546

 

 

 

 

 

 

-원유시장

뉴욕유가는 낙폭 과대에 따른 반발 매수세와 공급에 대한 우려 속에 상승

 

전날 유가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원유 가격 인하 소식에 수요 둔화 우려가 부각되며 4% 이상 하락

애널리스트들은 중동의 불안이 지속되고 있고, 리비아의 원유 공급 차질도 유가를 지지해 유가 하락이 제한되고 있다고 말했다.

 

2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1.47달러(2.08%) 오른 배럴당 72.24달러

 

 

 

 

 

728x90
반응형

'Da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증시 2024-04-23  (1) 2024.04.23
미국증시 2024-01-11  (0) 2024.01.11
미국증시 2024-01-09  (1) 2024.01.09
미국증시 2024-01-08  (1) 2024.01.08
미국증시 2024-01-05  (0) 2024.01.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