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주식시장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12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84%에서 125%로 올리는 내용의 관세 조정 고시를 발표 .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45%로 재산정한 데 따른 조치.

중국은 "현재의 관세율은 이미 미국산 수입품이 중국 시장에서 수용될 수 없는 수준이 됐다. "미국이 관세로 숫자놀음을 계속한다고 해도 이제 무시할 것"이라 언급

 

중국이 미국에 대한 관세율을 125%로 높이며 재보복에 나섰지만 적어도 관세를 서로 경쟁적으로 높이는 국면은 일단락됐다는 안도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앞서 대중국 추가 관세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내놓은 데 이어 중국도 추가 인상을 하지 않겠다는 뜻을 발표

 

미시간대의 4월 소비자심리지수(이하 예비치)는 50.8로, 전달보다 6.2포인트 급락

2022년 6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을 뿐 아니라 예상치(54.5)에도 크게 못 미치는 수준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6.7%로 전달보다 1.7%포인트 상승. 1981년 이후 최고치.

5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월의 4.1%에서 4.4%로 상승

 

미국의 3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시장의 기대치를 대폭 하회하며 1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달 대비 0.4% 하락

철강 등 일부 품목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영향이 나타났지만, 기본관세 10%를 포함해 주요 관세 파급 효과는 아직 반영되지 않았다는 해석이 우세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 전장보다 619.05포인트(1.56%) 뛴 40,212.71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 전장보다 95.31포인트(1.81%) 상승한 5,363.36

나스닥종합지수:  337.14포인트(2.06%) 급등한 16,724.46

 

 

 

★채권시장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9.70bp 높은 4.4910%

2년물 금리는 3.9520%로 같은 기간 10.20bp 급등

30년물 국채금리는 4.8750%로 2.50bp 상승

10년물과 2년물 금리 차이는 전 거래일 54.4bp에서 53.9bp로 약간 축소(베어 플래트닝)

 

 

 

★외환시장

미·중 무역분쟁이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자 '셀 USA' 기조에 따른 달러 매도세 지속

 

 

달러-엔 환율은 143.602엔으로, 전 거래일 뉴욕장 마감가 144.654엔보다 1.052엔(0.727%) 하락

유로-달러 환율은 1.13418달러로 전장보다 0.01370달러(1.223%) 급등

달러인덱스는 99.915로 전장보다 1.027포인트(1.017%) 급락

 

 

★원유시장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전날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고 관세가 유가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다고 경고

EIA는 올해와 내년 미국 및 세계 석유 수요 전망치도 하향 조정

 

미국인들의 소비심리는 또다시 악화했고 기대 인플레이션은 급등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1.43달러(2.38%) 뛴 배럴당 61.50달러

 브렌트유 6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1.43달러(2.26%) 오른 배럴당 64.76달러

 

 

-출처: 연합인포맥스

728x90
반응형

'Da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증시 2025-04-11  (0) 2025.04.11
미국증시 2025-04-10  (0) 2025.04.10
미국시장 2025-04-09  (0) 2025.04.09
미국증시 2025-04-08  (0) 2025.04.08
미국증시 2025-04-04  (0) 2025.04.05
728x90
반응형

★주식시장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중(對中) 관세가 145%에 이르는 것으로 재산정되자 주가지수들은 가파른 되돌림을 연출

마약성분 팬타닐 관련 기존에 부과된 관세 20%에 이날부터 발효된 상호관세 125%를 더한 값

게다가 5월 2일부터 중국과 홍콩에서 오는 800달러 이하의 소액 소포에 대해서는 120%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

미국 소비자들이 직접 체감하도록 소액 교역마저 관세를 인상하겠다는 의지

 

'매그니피센트7'은 모두 급락

월마트(1.09%), 유나이티드헬스그룹(2.68%), 코카콜라(1.17%), T모바일(0.48%) 등 필수소비재와 경기방어주는 선방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뉴욕경제클럽 행사에서

"관세는 부정적인 공급 충격과 같다. 스태그플레이션적 충격(stagflationary shock)이며, 연준 이중책무의 양쪽을 동시에 악화시키는 충격이다"라고 언급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는 예상에 부합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5일로 끝난 한 주 동안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는 계절조정 기준 22만3천명으로 집계

직전주 대비로는 4천명 증가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  전장보다 1,014.79포인트(2.50%) 급락한 39,593.66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 전장보다 188.85포인트(3.46%) 내려앉은 5,268.05

나스닥종합지수: 737.66포인트(4.31%) 폭락한 16,387.31

 

 

 

★채권시장

미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깜짝' 하락세, 30년물 입찰까지 호조를 보였지만 장기국채 가격은 뉴욕 장중 꾸준히 약세

 

미 노동부에 따르면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대비 -0.1%. 시장 예상치 +0.1% 하회 

 2020년 5월 이후 약 5년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나타낸 것 

근원 CPI는 전달대비 0.1% 상승. 시장 예상치 +0.3% 하회.

 

30년물 국채 입찰은 발행 수익률이 4.813%를 기록하며 호조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0.20bp 낮은 4.3940%

2년물 금리는 3.8500%로 같은 기간 9.10bp 급락

10년물과 2년물 금리 차이는 전 거래일 45.5bp에서 54.4bp로 확대

 

 

 

★외환시장

미국 달러화 가치는 경기침체 우려가 후퇴하면서 장중 급반등

 

TD증권의 통화 전략가인 자야티 바라드와즈 , "달러는 미국 경제 성장에 대한 기대감 약화와 연준의 금리 인하 고조, 미국 주식에서 다른 세계 시장으로 자금 이탈에 대한 우려로 하락하고 있다"고 진단

 

달러-엔 환율은 144.654엔으로, 전 거래일 뉴욕장 마감가 147.937엔보다 3.283엔(2.20%) 급락

유로-달러 환율은 1.12048달러로 전장보다 0.02707달러(2.476%) 급등

달러인덱스는 100.942로 2.204포인트(2.137%) 급락

 

 

★원유시장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2.28달러(3.66%) 급락한 배럴당 60.07달러

브렌트유 6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2.15달러(3.28%) 폭락한 배럴당 63.33달러

 

 

-출처: 연합인포맥스

728x90
반응형

'Da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증시 2025-04-14  (0) 2025.04.12
미국증시 2025-04-10  (0) 2025.04.10
미국시장 2025-04-09  (0) 2025.04.09
미국증시 2025-04-08  (0) 2025.04.08
미국증시 2025-04-04  (0) 2025.04.05
728x90
반응형

★주식시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교역국에 90일간 상호관세를 유예하기로 하면서 '묻지마 매수' 흐름

기본 관세 10%는 유지하되 상호관세는 유예하는 것으로 국가별 적정 관세를 협상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입장 표명

미국에 맞대응한 중국에 대해서는 관세를 125%로 인상하며 즉시 발효

상호관세 유예로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가 누그러지는 한편 트럼프도 시장을 무시할 수 없다는 점이 확인된 게 위험선호 심리를 자극

 

선물시장에 반영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 금리 인하 베팅은 후퇴

 

트럼프 행정부는 '주가 부양·국채금리 하락·강달러'를 기치로 내걸었는데 최근 시장의 반응은 미국 주요 자산의 '트리플 약세'였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  전장보다 2,962.86포인트(7.87%) 튀어 오른 40,608.45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 전장보다 474.13포인트(9.52%) 폭등한 5,456.90

나스닥종합지수:  1,857.06포인트(12.16%) 폭등한 17,124.97

 

 

 

★채권시장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13.50bp 상승한 4.3960%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금리는 3.9410%로 같은 기간 20.10bp  상승

10년물과 2년물 금리 차이는 전 거래일 52.1bp에서 45.5bp로 축소(베어 플래트닝)

 

 

 

★외환시장

미국 달러화 가치는 경기침체 우려가 후퇴하면서 장중 급반등

 

달러-엔 환율은 147.937엔으로, 전 거래일 뉴욕장 마감가 146.277엔보다 1.135엔(1.13%) 급등

유로-달러 환율은 1.09341달러로 전장보다 0.00199달러(0.182%) 하락

달러인덱스는 103.146으로 0.180포인트(0.175%) 상승

 

 

★원유시장

뉴욕유가는 또 급락하며 배럴당 60달러선마저 무너졌다.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2.77달러(4.65%) 폭등한 배럴당 62.35달러

브렌트유 6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2.55달러(4.06%) 급등한 배럴당 65.37달러

 

 

 

-출처: 연합인포맥스

728x90
반응형

'Da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증시 2025-04-14  (0) 2025.04.12
미국증시 2025-04-11  (0) 2025.04.11
미국시장 2025-04-09  (0) 2025.04.09
미국증시 2025-04-08  (0) 2025.04.08
미국증시 2025-04-04  (0) 2025.04.05
728x90
반응형

★주식시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보복관세에 50%의 추가 관세로 재보복에 나서면서 경기침체 공포가 다시 살아났다.

이날 미국 백악관은 다음 날부터 중국에 총 104%의 관세가 부과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장 초반 급등하던 3대 지수는 오후 장으로 가면서 빠르게 힘을 잃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20.01포인트(0.84%) 하락한 37,645.59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79.48포인트(1.57%) 주저앉은 4,982.77

나스닥종합지수는 335.35포인트(2.15%) 급락한 15,267.91

 

 

 

★채권시장

경기침체 우려에도 미 국채 장기물 가격은 이틀 연속 급락

원인을 두고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1)차익실현 욕구, 2) 유동성 확보 등이 장기물 금리 급등의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통상적이지 않은 장기금리의 움직임에 월가에서는 큰 폭의 재정적자가 지속되는 가운데 세계 최고의 안전자산으로 인정받는 미 국채의 지위가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

향후 경기침체가 발생하면 적자 국채 발행이 늘어날 수밖에 없지만 충분한 해외 수요가 유입되지 않는 상황이 닥칠 수도 있다는 얘기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10.40bp 상승한 4.2610%

 2년물 금리는 3.7400%

10년물과 2년물 금리 차이는 전 거래일 42.1bp에서 52.1bp로 확대(베어 스티프닝)

 

 

 

★외환시장

달러인덱스(DXY)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상대로 또다시 추가 관세를 얹을 수 있다는 위협에 103대 중반으로 올라서는 모습

 

달러-엔 환율은 146.277엔으로, 전 거래일 뉴욕장 마감가 147.936엔보다 1.659엔(1.12%) 급락

유로-달러 환율은 1.09540달러로 전장보다 0.00382달러(0.350%) 상승

달러인덱스는 뉴욕장 들어 미국과 주요국의 관세 협상 기대감에 따라 미국 국채 금리 상승과 연동해 103.442까지 상승

 

 

★원유시장

뉴욕유가는 또 급락하며 배럴당 60달러선마저 무너졌다.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1.12달러(1.85%) 떨어진 배럴당 59.58달러

 

 

 

 

-출처: 연합인포맥스

 

 

728x90
반응형

'Da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증시 2025-04-11  (0) 2025.04.11
미국증시 2025-04-10  (0) 2025.04.10
미국증시 2025-04-08  (0) 2025.04.08
미국증시 2025-04-04  (0) 2025.04.05
미국증시 2024-12-16  (3) 2024.12.16
728x90
반응형

★주식시장

미국이 지난 2일 중국에 34%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데 따른 대응으로,

중국은 지난 4일 미국산 수입품에 34%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8일까지 중국이 34%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미국은 중국에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그것은 9일부터 발효될 것"이라고 언급

 

개장 후 30분쯤 지난 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외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상호관세 90일간 유예'를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나와 나스닥지수가 4% 이상 뛰는 등 3대 지수 모두 급반등했으나 백악관 측이 '가짜뉴스'로 일축하면서 다시 하락 전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349.26포인트(0.91%) 내린 37.965.60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11.83포인트(0.23%) 낮은 5,062.25

나스닥종합지수는 15.48포인트(0.10%) 반등한 15,603.26

 

 

 

★채권시장

미국 국채가격은 급락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17.00bp 급등한 4.157%

2년물 금리는 7.40bp 상승한 3.736%

10년물과 2년물 금리 차이는 전 거래일 32.5bp에서 42.1bp로 급팽창

 

 

 

★외환시장

달러인덱스(DXY)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상대로 또다시 추가 관세를 얹을 수 있다는 위협에 103대 중반으로 올라서는 모습

 

달러-엔 환율은 1.084엔(0.74%) 상승한 147.936엔

달러인덱스는 103.458로 전장보다 0.421포인트(0.409%) 상승

 

 

★원유시장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으로 글로벌 경기침체 공포가 확산하자 원유 수요가 감소할 것이라는 불안으로 유가 하락

 

근월물인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1.29달러(2.08%) 급락한 배럴당 60.70달러

 

 

-출처: 연합인포맥스

728x90
반응형

'Da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증시 2025-04-10  (0) 2025.04.10
미국시장 2025-04-09  (0) 2025.04.09
미국증시 2025-04-04  (0) 2025.04.05
미국증시 2024-12-16  (3) 2024.12.16
미국증시 2024-12-12  (5) 2024.12.12
728x90
반응형

트럼프 당선 이후 지속적으로 시장에 우려를 확산시켰던 "관세 이슈"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모든 국가에 10%의 보편관세 부과: 4/5 시행

 

★이 중에서 무역적자가 큰 약 60개의 국가에 대해 상호관세 부과: 4/9 발효

         -중국 34%, 베트남 46%, 인도네시아 32%, 한국 25%, 일본 24%, EU 20%

         -중국의 경우 지난 2-3월에 기부과된 20%와 34%의 상호관세가 더해져 54%의 관세가 추가 적용될 예정

 

★ 단, 무역확장법에 따라 이미 관세가 적용되거나 적용될 자동차/자동차부품, 철강/알루미늄, 반도체, 의약품, 구리 등은 추가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관세 부과 이슈로 인플레이션, 경기 침체 등 여러가지 우려가 확산되는 가운데,

긍정적인 부분은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상호관세율은 바닥이 아닌 상한선이며 협상의 여지가 있다고 언급한 것이다.

 

 

 

 

 

 

 

 

 

-출처: 하나증권

https://www.hanaw.com/download/research/FileServer/WEB/economy/economy/2025/04/03/global_macro_alert_250404.pdf

728x90
반응형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1) 2022.03.28
728x90
반응형

 

다음주 예정되어 있는 이벤트 공유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주식시장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팬데믹 이후 5년 만에 가장 큰 낙폭(-5.97%)을 기록

 

중국이 미국에 보복관세로 맞대응하면서 경기침체 우려 확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무역전쟁 우려에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 의장이 "서두를 필요 없다"는 매파적 기조로 받으면서 투매를 유발

 

중국은 오는 10일부터 모든 미국산 상품에 대해 3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

미국이 지난 2일 중국에 매긴 상호관세 34%와 같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미국의 3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은 22만8천 명으로, 전월 (11만7천 명) 대비 11만1천 명이나 증가. 연합인포맥스의 시장예상치(13만5천 명)와 최근 12개월 평균 증가폭(15만8천 명)을 모두 큰 폭으로 상회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 전장 대비 무려 2,231.07포인트(5.50%) 급락한 38,314.86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전장보다 322.44포인트(5.97%) 떨어진 5,074.08

나스닥종합지수:  962.82포인트(5.82%) 미끄러진 15,587.79

 

 

 

-채권시장

미국 국채가격은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로 강세

하지만 파월 의장이 매파적 기조를 보이면서 금리인하 기대감이 약해졌고 오름폭은 축소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6.90bp 떨어진 3.987%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금리는 6.50bp 하락한 3.662%

10년물과 2년물 금리 차이는 전 거래일 32.9bp에서 32.5bp로 거의 동일

 

 

 

-외환시장

미국 달러화 가치가 하루 만에 큰 폭으로 반등

달러는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에 '안전 선호' 심리가 부각되며 상승세

 

중국에 대한 무역 의존도가 높은 호주달러는 달러 대비 4% 가까이 폭락하며 5년 만에 가장 약한 수준

 

달러-엔 환율은 146.852엔으로, 전 거래일 뉴욕장 마감가 146.247엔보다 0.605엔(0.41%) 상승

유로-달러 환율은 1.09433달러로 전장보다 0.00837달러(0.759%) 급락

달러인덱스는 103.037로 0.917포인트(0.898%) 급등

 

 

 

-원유시장

뉴욕유가는 글로벌 경기침체 공포로 7% 넘게 폭락

 

트럼프 대통령이 투하한 상호관세 폭탄에 중국이 맞대응하면서 글로벌 무역전쟁에 대한 위기감이 유가를 주저앉히는 모습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4.96달러(7.41%) 폭락한 배럴당 61.99달러에 거래

 

728x90
반응형

'Da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시장 2025-04-09  (0) 2025.04.09
미국증시 2025-04-08  (0) 2025.04.08
미국증시 2024-12-16  (3) 2024.12.16
미국증시 2024-12-12  (5) 2024.12.12
미국증시 2024-11-28  (0) 2024.11.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