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하루도 시장에서 눈을 뗄 수 없는 나날입니다,,,

계속 업데이트 되어서 팔로우업하기를 포기하셨던 분들을 위해 총정리 해보았습니다.



*기본관세(Base Tariff): 모든 수입품에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고정된 관세율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 특정 국가의 관세율을 기준으로, 그에 상응하는 수준에 맞추어 부과하는 관세률

 

 

 


🎈2025년 2월 4일: 캐나다·멕시코·중국 대상 관세 발효
-캐나다·멕시코: 모든 상품에 25% 관세, 단 에너지 자원(석유, 가스 등)은 10%.
-중국: 모든 상품에 10% 추가 관세.

🎈2025년 3월 12일: 철강·알루미늄 관세 강화
-철강: 기존 2018년 관세 면제 철회, 모든 국가에 25% 관세
-알루미늄: 기존 10%에서 25%로 상향

🎈2025년 4월 2일: 상호 관세 및 기본 관세 발표
-4월 5일부터 모든 수입품에 10% 기본 관세
-4월 9일부터 무역 적자 상위 국가들에 "상호(reciprocal)" 관세 부과
중국: 기존 20% + 추가 34% = 54%.
베트남: 46%.
대만: 32%.
EU: 20%.
일본: 24%.
한국: 25%.
영국: 10%.
기타 57개국: 국가별 맞춤형 관세.

🎈2025년 4월 3일: 자동차 및 부품 관세
-수입 자동차 및 부품에 25% 관세

🎈2025년 4월 9일: 중국 관세 상향 및 기타 국가 유예
-중국: 관세를 54%에서 125%로 상향.
-기타 국가(57개국): 상호 관세를 90일 유예, 협상 기회 제공

🎈2025년 4월 10일: 중국 관세 상향
-중국: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104%에서 125%로 상향 조정
-중국, 홍콩: 5월 2일부터 중국과 홍콩에서 오는 800달러 이하의 소액 소포에 대해 120% 관세 부과

 

 

 

728x90
반응형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상호관세 발표  (1) 2025.04.05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1) 2022.03.28
728x90
반응형

트럼프 당선 이후 지속적으로 시장에 우려를 확산시켰던 "관세 이슈"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모든 국가에 10%의 보편관세 부과: 4/5 시행

 

★이 중에서 무역적자가 큰 약 60개의 국가에 대해 상호관세 부과: 4/9 발효

         -중국 34%, 베트남 46%, 인도네시아 32%, 한국 25%, 일본 24%, EU 20%

         -중국의 경우 지난 2-3월에 기부과된 20%와 34%의 상호관세가 더해져 54%의 관세가 추가 적용될 예정

 

★ 단, 무역확장법에 따라 이미 관세가 적용되거나 적용될 자동차/자동차부품, 철강/알루미늄, 반도체, 의약품, 구리 등은 추가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관세 부과 이슈로 인플레이션, 경기 침체 등 여러가지 우려가 확산되는 가운데,

긍정적인 부분은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상호관세율은 바닥이 아닌 상한선이며 협상의 여지가 있다고 언급한 것이다.

 

 

 

 

 

 

 

 

 

-출처: 하나증권

https://www.hanaw.com/download/research/FileServer/WEB/economy/economy/2025/04/03/global_macro_alert_250404.pdf

728x90
반응형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관세 총정리>  (0) 2025.04.13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1) 2022.03.28
728x90
반응형

 

22년 2월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수도인 키예프를 미사일 공습과 지상군 투입 등으로 전면 침공하였습니다.

 

이번시간에는 현재 경제적,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해서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먼저,

전쟁은 왜 발발했을까요?

 

역사와 정치적인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과거 우크라이나는 소비에트 연방국가의 일부로, 1991년 소련이 해체된 이후에 독립하게 되었습니다.

 

소련으로부터 독립된 우크라이나에는 러시아계 인구가 존재하며, 돈바스와 크림반도에는 친러성향이 남아있어

지역간 대립 분위기가 잔재해 있었고 내전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빅토르 야누코비치

2010년 친러 성향을 갖고 있던 우크라이나 대통령 빅토르 야누코비치는 대통령으로 당선된 이후에 

친서방의 경쟁후보에게 실형선고를 내립니다. 이에 반러시아 정서가 확대되고, 대규모 시위와 대통령 탄핵까지 발생하였습니다. 

 

 

이때를 노려 푸틴은 우크라이나 내 러시아계 주민들을 보호해야 한다는 취지로, 크림반도 내 러시아 군대를 주둔시켰고 러시아 합병 관련한 투표를 실시하여 크림반도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이후, 친러 지역인 도네츠크, 루한스크 주에서도 독립을 요구하였고 이로 인하여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반군의 내전이 일어났습니다.

미국, EU는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고, 우크라이나의 NATO 가입을 추진하였습니다.

 

 

러시아는 본국에 위협이 된다는 명분과 함께 친러 돈바스 지역의 독립을 위해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게 됩니다.

 

 

 

전세계가 러시아 침공에 분노하고 있는데요.

이에 국제 사회는 군사적 개입보다는 경제적으로 제재를 가하고 있습니다.

 

현재 글로벌 신용평가회사인 S&P, 무디스, 피치 등은 국가 신용등급을 정크본드 수준까지 하락시키고, 러시아는 디폴트 위기까지 내몰렸습니다.

 

MSCI, FTSE 등 신흥국 지수에서도 러시아는 퇴출당했습니다. 이에 지수 추종 ETF나 금융상품을 통해 유입되는 유동성을 잃게 되었죠.

 

달러 대비 루블화 가치는 폭락하였습니다.

 

그 외에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러시아에서의 사업을 철수하는 등 많은 부분에서 러시아와 등을 지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이러한 이슈들은 단순히 러시아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유럽은 천연가스 공급의 40%를 러시아에 의존하고 있는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공급에 차질이 생기며 전세계 금융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천연가스 공급에 차질을 겪고 있는 유럽은 향후 LNG(액화천연가스)로 수요가 몰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러시아 -> 유럽&nbsp; 천연 가스 파이프 라인]
유럽 천연가스 가격 지표인 DUTCH TTF Natural Gas 선물 차트

 

 

또한 러시아는 글로벌 원유 생산 TOP2에 드는 국가인데요.

에너지 자원 무기화 움직임에 따라 원유 선물가격 변동성을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밀 수출 각각 1위, 5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두 나라가 세계 밀 생산의 3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전쟁으로 인해 농업 활동 재개가 어려워져 밀 가격 역시 급등하고, 글로벌 식량 위기 우려로까지 번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에너지, 원자재 공급 이슈는 인플레이션에 압력을 가하고, 경기 둔화를 지속시키는 악영향을 초래합니다.

 

 

경제적, 사회적 문제를 넘어서 인류적인 관점에서 소중한 생명을 잃어가는 전쟁은 마음 아픈 일입니다.

하루 빨리 전쟁이 끝나길 바라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슈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관세 총정리>  (0) 2025.04.13
미국 상호관세 발표  (1) 2025.04.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