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주식시장

 25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집권 2기 첫 재무부 장관에 헤지펀드 '키스퀘어 그룹' 창업자인 스콧 베센트를 지명하자 동반 강세. 베센트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및 이민 정책을 적절히 완급조절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매수 심리를 자극

 

베센트는 대선 과정에서 트럼프에게 '3-3-3' 정책을 제안.

규제완화 등으로 생산성을 늘려 연간 3%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달성하고

현재 6.2% 수준인 GDP 대비 연방 재정 적자를 3%로 줄이는 한편

미국의 일일 석유 생산량을 300만 배럴 늘려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자는 것

 

이같은 정책은 제조업과 재료 등 전통 산업에 더 유리할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

 에너지와 기술을 제외한 모든 업종이 상승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40.06포인트(0.99%) 뛴 44,736.57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8.03포인트(0.30%) 상승한 5,987.37

나스닥종합지수는 51.18포인트(0.27%) 오른 19,054.84

 

 

 

-채권시장

재정 매파로 분류되는 스콧 베센트에 대한 기대로 투자자들이 '트럼프 트레이드'를 빠르게 되돌리는 것으로 풀이

베센트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미국 정부의 방만한 재정적자를 문제 삼으며 적자 축소를 주장해왔다.

그런 만큼 그가 재무부 수장이 되면 국채 발행량을 줄이는 등 어떤 식으로든 재정감축에 나설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14.40bp 급락한 4.265%를 기록

2년물 금리는 같은 기간 9.60bp 떨어진 4.273%

10년물과 2년물 간 금리 차이는 전날의 4.0bp에서 -0.08bp로 다시 역전

 

 

 

-외환시장

베센트 효과와 더불어 미국 국채금리 급락과 이스라엘과 레바논의 친(親)이란 무장정파 헤즈볼라 간 휴전 합의가 임박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점도 지정학적 우려를 덜어주면서 달러 약세에 일조

 

달러-엔 환율은 154.142엔으로, 직전 거래일(22일) 뉴욕장 마감가 154.893엔보다 0.697엔(0.450%) 하락

유로-달러 환율은 1.049424달러로, 전장 1.04145달러에 비해 0.00779달러(0.748%) 높아졌다. 

달러인덱스(DXY)는 전장 107.527보다 0.617포인트(0.574%) 내린 106.910

 

 

 

-원유시장

뉴욕 유가는 이스라엘과 헤즈볼라의 휴전 합의 임박 기대에 급락

 

 근월물인 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 대비 2.30달러(3.23%) 낮아진 배럴당 68.94달러에 거래

 

 

 

 

 

 

 

 

728x90
반응형

'Da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증시 2024-11-28  (0) 2024.11.28
미국증시 2024-11-27  (1) 2024.11.27
미국증시 2024-11-25  (0) 2024.11.23
미국증시 2024-11-22  (2) 2024.11.22
미국증시 2024-11-21  (1) 2024.11.21

+ Recent posts